시민회의에 대한 과제를 올리면 로그인 후 댓글로 의견을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습니다.
* (우리시 수단분담률) 승용차 44%, 버스 10%, 자전거 0.8%, 도보 40%
(타지자체 버스·지하철 분담률) 서울 47%, 부산 31%, 대전 18%
주요거점 6개소 통행량/년평균, 269천대(’19년)→346천대(’20년), 28% 증가
- 자전거 레저 문화의 정착과 함께, 우리시에서는 이동수단으로서의 자전거 활용성이 지속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’19년 기준, 자전거 분담률은 세종 신도심 3.1%, 서울 1.4%, 대전 1.8%
PM을 자전거로 분류, 자전거도로 이용 및 운전면허 미소지, 13세 이상 허용
** PM 산업 관련「개인형 이동수단의 관리 및 이용활성화 법률」발의(’20.9)
* 일레클은 ‘20.11월 3生·4生활권에 200대 확대 예정
** 스마트시티 실증사업으로 시 관리 하에 공유PM 도입 예정(12월, 200대, 1生)
* 일레클·PM은 어울링 대여소 거치 장소를 공유하여 적절한 거치 유도
![]() | ![]() | ![]() |
어울링 | 일레클 | 전동킥보드 |
---|
※ (사설 PM현황) 지쿠터 약330대(신도심, 조치원읍), 머케인 약30대(호수공원 인근)
* ’17년 사고 146건, 사고율 0.0764%→ ’20.10월 현재 216건, 0.0243%
- 운전미숙, 교통지식 부족 등이 교통사고의 주요원인으로 분석* 17~19년 경찰서 접수(137건) 중, 가해차량의 안전운전불이행(96건), 신호위반(21건)
* 자전거 인프라 및 유지보수 수요는 지속 증가하고 있으나, 자전거 도로 유지보수 예산액은 ’16년 485백만원 대비 ’20년 80백만원으로 84% 감소
** 세종시는 도로조명등 28천개를 1인이 전담하고 있어, 타 지자체 대비 신속대응이 매우 어려운 상황(1인당 공주시 4천개, 대전시 2천개씩 담당)
* 자율방범연합회 : 총 28개 지대(남성대14, 여성대9, 남녀혼성대5), 568명
* 보행,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에 비례하여 마일리지(20%) 지급 및 카드사 할인(10%) 혜택(‘20년, 67,232천원, 1,156명)
* 어린이보호구역 속도 하향, 안전모 착용 및 거치대 활용 유도 등을 준수하는 조건으로 규제 특례 적용 및 국비 보조
- 보도를 활용하여 PM 주차용 페인팅존을 구획하는 방안(적정 규모, 경계구분 여부, 사고책임 소재 등)에 대한 시민 설문조사 실시* “복합커뮤니티센터?.....‘한글 도시’도 못버린 외국어(’20.10.9. kbs기사)
* 역할 : 시의 공문서나 대민 서류 등에 쓰이는 국어를 보다 정확하고 알기 쉽게 표현하도록 지도
* 수행기관 :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/ 예산 : 50,000천원
읍면동 | 전환시기 | 위원 수 | 읍면동 | 전환시기 | 위원 수 | 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합 | 남 | 여 | 합 | 남 | 여 | ||||
부강면 | ‘13.10월 | 33 | 15 | 18 | 전의면 | ‘20.1월 | 39 | 21 | 18 |
장군면 | ‘19.7월 | 41 | 25 | 16 | 전동면 | ‘20.1월 | 30 | 18 | 12 |
한솔동 | ‘19.7월 | 34 | 17 | 17 | 새롬동 | ‘20.1월 | 29 | 13 | 16 |
도담동 | ‘19.7월 | 28 | 12 | 16 | 종촌동 | ‘20.4월 | 27 | 13 | 14 |
연동면 | ‘20.1월 | 32 | 18 | 14 | 보람동 | ‘20.7월 | 28 | 14 | 14 |
연서면 | ‘20.1월 | 29 | 16 | 13 | 소담동 | ‘20.7월 | 33 | 14 | 19 |
* 구성예정 : 다정(‘20.8), 대평(‘20.9), 조치원·연기·소정(’21.1), 금남(‘21.2), 아름·고운(’21.3)
* 주민자치회 확대 및 기능 강화, 마을회 신설 등 제도적 근거 마련
* 10개 면·동 / 55개 마을계획 사업 발굴·수립 / 총 사업비 1,330백만원
** 10개 면·동 / 2,665명 참여 / 온라인 투표(4), 우편물 투표(2), 일정기간 투표소 운영(4)
* 전문가, 직능단체 등 일부 추첨제 병행, 아파트입대위·이통장 당연직 위촉 등
* 주민자치회 위원 대상으로 시민주권대학에서 주민자치회 과정 교육 진행(12H)
* 마을계획 사업계획서 작성, 주민총회 계획 수립, 회의자료·회의록 작성 등
* 반드시 위원이 아니더라도 주민자치 활동에 참여 및 협치할 수 있는 구조 마련
* 22,399명(’15년) → 26,851명(’17년) → 31,949명(’19년) → 33,343명(’20.6월말)
** 392개소(’12년) → 423개소(’15년) → 477개소(’18년) → 496개소(현재)
* 어린이보호구역 내 사고 운전자 가중처벌 및 교통단속카메라 등 안전시설설치 의무화
** 5대 분야(안전시설 획기적 개선, 안전무시관행 근절, 어린이 우선 교통문화 등) 49개 과제
※ 세종시는 인구대비 어린이 비율이 전국 최고로 어린이 교통안전에 대한 부모의 높은 기대수준
⇒ 「세종시 어린이 교통안전 종합대책」에 대한 관계기관, 전문가, 학부모, 시민 등의 의견을 수렴하여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실행계획 마련
구분 | 위원장 | 위원 | 운영 |
---|---|---|---|
전체 협의회 | 시장, 교육감, 경찰청장 | 시청 건설교통국장, 교육청 국장, 경찰청 과장, 세종시의회 의원, 녹색어머니회 회장 등 | 연 1회 |
실무 협의회 | 189시청 교통과장, 교육청 정책기획과장, 경찰청 경비교통과장 | 시청, 경찰청, 교육청, 행복청, LH, 도로교통공단, 교통안전공단, 녹색어머니회 등 유관 기관 실무자 | 분기별 |
* 출처 : 경찰청 교통사고분석시스템
어린이 보행사고 | 어린이보호구역 內 보행사고 | 비고 | |||
---|---|---|---|---|---|
사고정도별 | 지역별 | ||||
중상 | 경상 | 신도심 | 읍면 | ||
16건 | 39건 | 36건 | 19건 | 10건(경상) | |
55건 |
※ (어린이보행사고 최빈지역) 7건, 아름동 해피라움 4거리(학원밀집지역)
하천명 | 지구 | 면적(㎡) | 활용계획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금강 | ① 친수거점 | 235,926 | 금강스포츠공원(1단계),수상레저 등 | ![]() |
② 친수거점 | 189,357 | 세종보 관련 학습 및 관찰시설 | ||
③ 친수거점 | 49,066 | 금강보행교, 수상 레저 (요트,카누 등) | ||
④ 친수거점 | 209,889 | 금강스포츠공원(2단계) | ||
⑤ 친수거점 | 94,313 | 마리나 시설을 활용한 수상레저 | ||
⑥ 친수거점 | 159,419 | 합강캠핑장 | ||
소 계 | 945,885 | |||
미호천 | ⑦ 친수거점 | 182,251 | 문화,공연 체험장 | |
⑧ 친수거점 | 608,837 | 야구장과 연계한 생활체육공원 | ||
⑨ 친수거점 | 181,396 | 스포츠공원조성 | ||
소 계 | 972,484 | |||
합 계 | 1,918,369 |
※ 국가하천 친수공간 종합기본계획수립(‘17.12)
하천명 | 위치 | 연장(km) | 시설현황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제천 | 아름동, 종촌동 일원 | 2.9 |
| ![]() |
방축천 | 도담동, 어진동 일원 | 3.9 |
|
※ 금강하천 인·허가(대전청), 금강 제방관리(논산국토), 금강둔치 예초, 자전거도로 등 시설물 관리(세종시)
유해수목 정비 전 | 유해수목 정비 후 |
---|---|
![]() | ![]() |
※ 2020년(250백만원), 관목‧교목 전정(1회), 예초(3회), 병충해방재(1회) / 6.8km
※ 조성사업비는 ’19년 국가하천유지관리 우수지자체선정 포상금 1억 활용
※ 금강보행교 중심으로 꽃식재 및 수목정비로 시민 힐링명소로 개선
구분 | 시민감동특위 | 시민안전분과 |
---|---|---|
구 성 |
|
|
안 건 |
|
|
방 식 |
|
|
일정(안) |
|
|
(단위:개)
구분 | 합계 | 과속방지턱 | 고원식횡단보도 | 고원식교차로 | 비고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원호형 | 사다리꼴 | |||||
합계 | 1,263 | 795 | 45 | 344 | 79 | ※ 3.13.기준 전수 조사된 현황 - 총19개 지역(읍1,면9,동9) 중 15개 지역 조사완료 |
1생 | 235 | 68 | 34 | 101 | 32 | |
2생 | 162 | 51 | 8 | 78 | 25 | |
3생 | 110 | 29 | 3 | 77 | 1 | |
4생 | 35 | 10 | - | 25 | - | |
읍·면 | 721 | 637 | - | 63 | 21 | |
관리부서 | 도로과 | 교통과 |
※ 우리시는 평균 600m마다 초등학교가 위치하여 어린이보호구역(반경 300m)이 연속된 구간이 많음
* 행복청, 세종시(교통과, 도로과), 세종경찰서, LH, 교통연구원, 도로교통공단 참여
※ 과속방지턱 철거 협의(도로과) → 주민 동의 → 시설정비
일정 | 주요내용 | 비고(전체회의) |
---|---|---|
3.24(화) |
| 3.17(화) |
4.7(화) |
| 3.31(화) |
4.21(화) |
| 4.14(화) |
※ `20. 3.13.(금) 13:00 : 최초 내부회의 개최
구분 | 수량(본) | 식재비(백만원) | 고사목현황(본)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계 | 29,709 | 24,955 | 2,897 | 읍‧면 19,726본 미포함 |
인수지역 | 17,449 | 14,657 | 1,432 | 2018년도 고사목 1,092본 재식재(434백만원) |
인수예정지역 | 12,260 | 10,298 | 1,465 | 재식재 후 인수 협의 |
※ ’19년 가로수 민원은 고사목 및 생육불량목 처리, 병해충방제, 가지치기 등으로 74건(국민신문고 38건, 시민의창 28건, 기타 8) 발생
구분 | 2017년 | 2018년 | 2019년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불법 현수막 | 71,175건 | 130,913건 | 195,695건 | ‘19년도 기준 1일 536건 |
구분 | 게시 가능 수량 | 게시량 | 게시율(%) | 비고 | 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예정지역 | 읍면 | 합계 | 예정지역 | 읍면 | 합계 | 예정지역 | 읍면 | 평균 | ||
’19년도 | 3,918 | 20,940 | 24,858 | 3,354 | 9,911 | 13,265 | 86 | 47 | 67 |
연도 | 보상비 | 불법 현수막 정비 | 비고 |
---|---|---|---|
2017년 | 30,000천원 | 10,466건 | |
2018년 | 70,000천원 | 39,190건 | |
2019년 | 70,000천원 | 59,852건 |
과속방지턱 정비 좋네요~