수여대상
시정에 공로가 매우 큰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외국인, 재외동포, 다른 시·도 인사
- 국내·외적으로 세종시의 위상을 제고한 사람
- 시민의 생활개선 또는 문화발전에 공헌한 사람
- 과학, 예술, 체육 및 경제 등 각 분야에서 시의 발전에 공헌한 사람
- 세종시장이 명예시민증의 수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람
수여 절차
- 대상자의 공로분야와 관련 있는 부서에서 추천조서를 작성하여 주관부서 (자치분권과)에 신청
- 세종시 시정조정위원회의 심의·의결
- 주관부서에서 세종시 의회에 수여자 결과 보고
- 인터넷 홈페이지 게시
일련번호 : 1호(2012년)
김안제 (1937년생, 서울 강남)
- 서울대학교 명예교수
- 공적요지
- 신행정수도 기본구상, 입지선정기준 마련
- 국가기관 이전계획 및 건설기본계획 수립기여
- 최종 입지(연기·공주) 확정에 기여
- 주요경력
- 서울대 환경대학원 원장
- 대한국토·도시계획학회 회장
- 대통령과학기술자문회의위원
- 대통령지방이양추진위원장
- 청와대 신행정수도건설추진 위원장
- 한국자치발전연구원장
일련번호 : 2호(2012년)
강용식 (1935년생, 대전 서구)
-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자문위원장
- 공적요지
- 수도권 과밀해소와 국가 균형발전의 아이디어로 신행정수도 건설 공약을 제안
- 신행정수도 건설 난관 봉착시, 행정도시건설 추진위원회 자문위원장으로 행정수도 대변인 역할 수행
- 주요경력
- 국립한밭대학교 총장
- 신행정수도건설추진위원회 상임추진위원장
- 신행정수도건설후속대책위원회 대책위원
-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 자문위원회 위원장
- 청와대 신행정수도건설추진 위원장
일련번호 : 3호(2012년)
이상선(1954년생, 충남 청양)
- 균형발전비방분권 전국연대 공동대표
- 공적요지
- 행정도시 사수를 위한 비상대책위 구성 및 활동
- 행정도시 사수를 위한 민·관·정 대책기구 결성
- 행세종특별자치시 수정안 폐기 및 세종특별자치시 원안 추진 기여
- 주요경력
- 세종특별자치시 원안추진 비상대책위원회 공동대표
- 충남 참여 자치 지역운동본부 상임대표
- 균형발전미방분권전국 연대 공동대표
일련번호 : 4호(2012년)
이두영 (1966년생, 충북 청주시)
- 충북경제정의실천 시민연합사무처장
- 공적요지
- 세종특별자치시 수정안 백지화 및 행정도시 원안 노력
- 행정도시 정상 추진을 위한 충청권 민·관·정 공동대책기구 출범 및 공동대책 활동 주도
- 주요경력
- 행정도시 무산저지 충북비상대책위원회 공동집행위원장
- 균형발전지방분권전국연대 공동집행위원장
- 행정도시 정상추진 충청권 비상대책위원회 운영위원장
일련번호 : 5호(2012년)
금홍섭 (1968년생, 대전 대덕구)
- 대전참여자치 시민연대사무처장
- 공적요지
- 행정도시 백지화 공식선언에 반발, 충청권 시민단체들 규탄, 기자회견
- 행정도시 무산저지 충청권비상대책 위원회 사무처장으로 대규모 규탄 집회와 원안추진 여론형성에 기여
- 주요경력
- 2011.01~ 대전지역정책 포럼공동대표
-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처장
-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공동운영위원장
- 균형발전지방분권전국연대 공동집행위원장
일련번호 : 6호(2013년)
김재준 (1947년생, 인천 계양구)
- 재인천 세종특별자치시민회 명예회장
- 공적요지
- 충청향우회 중앙회 주최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사수 결의대회 개최 등 충청권 사수 적극 동참
- 투철한 애향심으로 지역 발전 기여
- 고향 우수 농·특산물 판촉 및 홍보
- 주요경력
- ㈜태경 그린개발 대표이사
- 법무부 범죄 예방위원(부평지구)
- 재인천 연기군 민회 회장
- 재인천 세종특별자치시민회 회장
일련번호 : 7호(2013년)
조명래 (1955년생, 서울 광진구)
- 국가 균형발전위원회 위원
- 공적요지
- 세종특별자치시 수정안 반대, 원안 사수에 기여
- 각종 토론회 및 집회 시 행정 도시 건설의 당위성 등 주제발표, 이론적 토대 마련
- 세종특별자치시 정책자문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시정 주요 정책 수립 자문
- 주요경력
- 한국도시연구소 소장
- 한국공간 환경 학회 회장
- 국가 균형 발전위원회 전문위원
- 충청남도 행정혁신위원회 위원장
- 한국 NGO 학회 회장
- 서울시 도시계획 위원회 위원
- 세종특별자치시 정책자문위원회 부위원장
일련번호 : 8호(2013년)
이현옥 (1939년생, 서울 서초구)
- ㈜상훈유통 대표이사
- 공적요지
- 1사1촌 자매결연, 지역 농산물 판매 기여
- 개미고개 ‘자유평화의 빛’위령비 보강사업 적극 지원
- 주요경력
- 한국보훈복지공단 SOFA 사업소장
- 한국보훈복지공단 관세 사업담당
일련번호 : 9호(2014년)
정의화 (1948년생, 부산 동구)
- 국회의장
- 공적요지
- 세종특별자치시 문제 해결을 위해 새누리당 세종특별자치시 특위 위원장직을 맡아 일관성·공정성·투명성 있게 추진
- 세종특별자치시 건설 논란 시 수도 이전 적극 추진
- 주요경력
- 국회 재정 경제 위원회 위원장
- 한나라당 세종특별자치시 특별위원회 위원장
- 18대 후반기 국회부의장
일련번호 : 10호(2014년)
최병선 (1948년생, 서울 송파)
- 가천대학교 도시계획학과 명예교수
- 공적요지
- 신행정 수도 기본계획 수립 및 최종 입지 선정
- 수도권 집중 억제와 국토 균형 발전 방안 연구
- 주요경력
- 신행정 수도 공동연구 단장
- 대한 국토·도시계획학회장
-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 추진 위원회 공동위원장
일련번호 : 11호(2014년)
계용준 (1956년생, 경기 성남)
- 충북개발공사 사장
- 공적요지
- LH 세종지역 단장 재임 중 행복도시 건설 기반 마련 및 토지 보상 완료
- 한국토지공사에서 30여 년 국토의 균형 개발 및 도시개발 사업 추진을 위해 헌신적으로 공헌
- 주요경력
- 한국토지공사 부사장
- 행복중심복합도시 건설 본부장
일련번호 : 12호(2015년)
양승조(1959년생, 충남 천안시)
- 공적요지
- 17대, 18대, 19대 국회의원으로 국가와 지역 발전을 위해 활발한 의정 활동을 펼침.
- 세종시 수정안에 대하여 논리적으로 반박, 단식농성까지 단행하며 세종시 원안 건설에 기여
- 주요경력
- 17대, 18대, 19대 국회의원
- 국회 보건복지 위원회 소속 의원
- 새정치민주연합 최고위원, 사무총장
일련번호 : 13호(2015년)
이재관(1965년생, 경기 고양시)
- 공적요지
- 세종시 출범을 위한 실무적 준비 작업 등 안정적인 행정기반 마련
- 시정 발전을 위한 시정 조정자로서의 역할 수행
- 주요경력
-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준비단장
- 세종특별자치시 행정부시장
일련번호 : 14호(2015년)
김효명(1958년생, 서울 성동구)
- 공적요지
- 세종시 중장기적 발전방안 마련, 이주자들의 조기 정착과 질적 정주여건 개선 기여
- 신청사 적기 완공, 투자활동 등 세종시 정상건설 및 자족성 강화 노력
- 주요경력
- 국무조정실 세종특별자치시 지원 단장
- 세종특별자치시 지원 위원회 운영
일련번호 : 15호(2016년)
정세균(1950년생, 서울특별시 종로구)
- 공적요지
-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 특별법 제정, 세종시 수정안 반대, 세종시 설치 특별법 제정 등에 기여
- 제20대 전반기 국회의장 취임 후 ‘국회 세종 분원’ 설치 필요성을 대외적으로 표명
- 주요경력
- 산업자원부 장관
- 열린우리당 당 의장
- 민주당 대표
- 국회의장
일련번호 : 16호(2016년)
이정기(1962년생, 대구광역시 수성구)
- 공적요지
- 32보병사단장 재직 당시 통합방위협의회원으로서 세종시 민·관·군·경 통합방위 작전 수행능력 향상에 기여
- 주민 신고 교육, 안보교육 지원, 농촌일손 돕기 등을 통해 안보·애민 활동으로 시정발전에 기여
- 주요경력
- 아프간 재건 지원단장
- 연합사 작전처장
- 32사단장
- 2작전사 참모장
일련번호 : 17호(2016년)
함신익(1957년생, 서울특별시 중구)
- 공적요지
- 본인이 지휘하는 오케스트라단과 함께 세종시민들을 위한 무료 오케스트라 공연을 개최
- 청소년 대상 관현악기 체험 및 진로상담 추진 등 시민들의 문화 향유권 증대에 기여
- 시에서 추진하는 문화예술 분야 시책사업에 적극 협조하는 등 우리시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
- 주요경력
- 제7대 KBS교향악단 상임지휘자
- 예일대학교 음악대학 정교수
- 예일대학교 필하모니 오케스트라 음악감독
- 심포니 송 예술감독
일련번호 : 18호(2016년)
이재은(1966년생,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)
- 공적요지
- 세종시 안전도시위원회 위원장으로서 안전도시위원회 위원회의, 안전 취약지 현장점검 조치, 안전문화 캠페인 전개 등의 안전증진사업을 통해 안전한 세종시 건설에 기여
- 주요경력
- 충북대학교 행정학과 교수
- 한국 정책포럼 위기관리정책위원장
- 국가위기관리학회 회장
- 세종시 안전도시위원회 위원장
일련번호 : 19호(2016년)
하혜수(1961년생, 서울특별시 마포구)
- 공적요지
- 세종시 출범과 명품도시 발전을 위한 법적 기초 마련 등을 위한 다수의 연구 수행
- 한국지방행정 연구원장으로 재직하면서 세종시 행·재정, 지역 발전, 지방투자 사업 등을 위한 MOU 체결 등을 통해 세종시 발전에 기여
- 주요경력
- 경북대학교 행정학부 교수
- 한국지방자치 학회 회장
- 지역발전위원회 본위원
- 지방행정 연구원 원장
일련번호 : 20호(2017년)
Andrés Perea Ortega(1940년생, Madrid Spain)
- 공적요지
- “행정중심복합도시 도시 개념 국제공모전”에서 “The City of the Thousand Cities”라는 작품으로 당선
- 6개 주요 도시 기능을 환상형 링을 따라 거점별로 분산 배치한 도시 개념이 세종시의 도시설계에 반영되어 행복도시 정상건설에 크게 이바지 함
- 주요경력
- 마드리드 유럽 대학교 교수
- 마드리드 건축학교(학사)
일련번호 : 21호(2017년)
Nader Tehrani(1963년생, USA)
- 공적요지
- 도시건축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으로서 「행정중심복합도시 도시개념 국제공모전」공동심사위원장으로 활동
- 도시건설 목적에 부합하는 도시철학과 이념, 도시공간구조 아이디어 등을 제시하며, 세종시 도시건설 초석을 마련하는데 크게 기여하였음
- 주요경력
- The Cooper Union 건축학교 교수
- MIT 건축학과 교수
- 행복도시 도시개념 국제공모전 공동심사위원장
- 하버드대학교 건축대학원 교수
일련번호 : 22호(2017년)
서의택(1937년생, 부산광역시 금정구)
- 공적요지
- 2006년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 추진 위원회 민간위원장 역임
- 행복도시 건설 계획(기본계획, 개발계획 등)과 주요정책 수립 총괄, 행복도시 원안 추진을 위한 비상대책회의, 세종시 특별법 제정 지원 등을 통한 행복도시(세종시) 정상 건설에 이바지함
- 주요경력
- 부산대학교 석좌교수, 동명문화학원 이사장
-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 추진 위원회 위원장
- 신행정 수도 자문위원회 국토․도시계획분과 위원장
- 제5대 부산외국어대학교 총장
일련번호 : 23호(2017년)
이상민(1958년생, 서울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)
- 공적요지
- 세종시가 원안대로 추진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해 왔으며, 2010년에 ‘세종시 설치 특별법’이 국회에서 통과되는데 기여
- 국회 개헌특위 위원으로서 성문헌법에 세종시를 행정수도로 명기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등 세종시를 행정수도로 완성하기 위하여 기여
- 주요경력
- 제20대 국회의원
- 제19대 국회 후반기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
- 제18대 국회 미래전략 및 과학기술 특별위원회 위원장
- 제17대 국회의원
일련번호 : 24호(2017년)
이인영(1964년생, 서울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)
- 공적요지
- 2010년 민주당 최고위원으로 재직, 세종시가 당초 원안대로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으며, 2010년 ‘세종시 설치 특별법’이 국회에서 통과되는데 기여
- 올해 1월부터 국회 개헌특위 더불어민주당 간사로 참여, 수도를 헌법적 차원에서 정리하는 문제와 헌법에 “세종시=행정수도”를 규정하는 방안에 대해 적극적으로 제기
- 주요경력
- 국회 헌법개정특별위원회 간사
- 제19대, 제20대 국회의원
- 민주통합당 최고위원
- 제17대 국회의원
일련번호 : 25호(2017년)
금난새 (1947년생, 서울특별시 서초구)
- 공적요지
- 2017년 3월 세종시 문화 재단에서 진행한 기획공연 “금난새의 해설이 있는 음악회”를 진행하여 시민들이 쉽고 재미있는 클래식에 한 발짝 다가가는 데 기여
- 재단의 문화 메세나 사업에 대한 협력과 세종 시민의 문화예술 욕구 충족을 위해 기여
- 주요경력
- 서울예술고등학교 교장
- 성남 시립 교향악단 상임지휘자 및 총감독
- 포항시립교향악단 명예지휘자
일련번호 : 26호(2017년)
조웅래 (1960년생, 대전광역시 서구)
- 공적요지
- 맥키스 컴퍼니사와 우리 시 업무 협약으로 세종시 각종 홍보 적극 지원(총 18회)
- 에코힐링 프로그램 활동
- 맥키스 컴퍼니사 소속 “맥키스 오페라단”의 무료 공연으로 세종시민들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고, 우리 관내 고등학생들에게 힐링 공연 개최
- 주요경력
- (주)선양소주 회장
- 계족산 황톳길 조성 사업
- (주)맥키스 컴퍼니로 사명 변경
일련번호 : 27호(2018년)
황희연 (1951년생,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)
- 공적요지
- 신행정수도추진위원회 위원으로서 세종시 출범에 기여
- 국회 「신행정수도 후속대책 및 지역 균형 발전특별위원회」 주제발표 등 서울에서도 행정수도 건설 우호 여론 조성을 위한 다양한 활동 수행
- 도시재생 협치체계 구축 및 발전기반 마련의 공로
- 도시재생지원센터 설립과 조기 정착에 공헌
- 세종시 총괄계획가로서의 기여
- 청춘조치원프로젝트 기획자로서 사업의 조기 정착에 공헌
- 주요경력
- 대통령 자문 국가 균형 발전위원회 위원
- 국무총리실 국토정책 위원회 위원
- 세종특별자치시 총괄계획가
-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명예교수
일련번호 : 28호(2018년)
이슬기 (1979년생, 호주 캔버라)
- 공적요지
- 아시아계 최초의 호주 수도지역 자치 정부(ACT) 주의원
- 2017년 세종시 홍보대사로 위촉
- 세종시와 호주 캔버라의 교류 협력 강화를 위해 양 도시 간 가교 역할
- 두 나라의 행정수도 건설과 관련한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호주에서 세종시의 국제적 위상을 제고하는데 기여
- 주요경력
- 호주 국립대 및 캔버라대학 법학 강사
- 호주 ACT 주 의원
일련번호 : 29호(2019년)
임우철 (1920년생, 서울특별시 동작구)
- 공적요지
- 세종시(구 연기군 남면) 출신으로 내선일체 허구성 비판 등 독립운동 전개로 투옥(1943.12월~1945.8월)
- 한국인만의 회사를 설립하여 민족자본을 육성하고, 공업학교의 교원이 되어 청소년을 훌륭히 육성하는 한편, 한국어를 널리 보급하여야 하며 궁성요배 불필요 주장
- 건국훈장 애족장 수여(2001년)
일련번호 : 30호(2019년)
김종민 (1964년생, 충청남도 논산시)
- 공적요지
- ‘17년 헌법개정특위 위원으로 활동하며 헌법개정의 주요의제로 행정수도 헌법 명문화 지속 요구
- ’18년 국회운영위 위원으로 운영개선소위에서 국회분원 조항 신설을 위한 신속한 국회법 개정안 의결 촉구
- 국회사무처 국정감사 시 국회 분원 설치에 대한 조속한 연구용역 추진 요구 등
- 국가균형발전과 행정수도 완성을 위한 적극적인 의정활동으로 세종시 발전에 이바지한 공이 큼
- 주요경력
- 제20대 국회의원
- 충청남도 정무부지사
- 청와대 국정홍보비서관
- 청와대 대변인
메뉴담당자
담당부서 : 자치분권과 행정담당
담당자 : 박상순(044-300-3116)
최종확인일 : 2019-10-1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