산으로 둘러싸인 농촌 마을이며, 지형이 용(龍)이 하늘로 올라가는 형계(形計)라 하여 기룡(起龍)이라 하였다.
조선 말엽에는 연기군 서면(西面)의 지역이었다. 지형(地形)이 용(龍)이 하늘로 올라가는 형국(形局))이라 하여 그 뜻을 따서 기룡(起龍)이라 하였는데, 1914년 행정개혁 때 이웃 마을을 병합하여 기룡리라 하고 연기군 서면(西面)에 편입(編入)되었다.
‘동막골’ 아래쪽에 있는 마을이다. 예전에 ‘요화방(堯化坊)’이었다 하여 요화리라 부른다.
‘망골’입구에 있는 비(碑)다. 효자(孝子) 홍연경(洪延慶)과 그 아들 홍연설(洪延卨),손자 홍우적(洪禹績), 홍우평(洪禹平), 증손 우방(禹?), 현손 홍득일(洪得一), 오세손 홍상덕(洪相悳)의 효행(孝行)이 지극하여 오세칠효(五世七孝)가 됨으로 영조(英祖)가 그 사는 마을의 이름을 ‘효교(孝橋)’라 고쳐 줄 만큼 홍씨(洪氏)들의 가문(家門)을 빛낸 효행비(孝行碑)다.
‘망골’앞에 있는 골짜기를 시묘동(侍墓洞)이라 부른다.
기룡리(起龍里)에서 가장 큰 마을이다. 이곳에는 홍씨가내(洪氏家內)에 일곱 효자가 났으므로 영조(英祖)가 마을 이름을 ‘효교’라 고쳐 주기도 하여 ‘효교’라고 부르기도 한다.
예전 평택임씨(平澤林氏)의 일가(一家)로 공조참의(工曹參議)를 지낸 임순우(林舜宇)란 사람이 공주(公州)에서 이곳으로 이사 와서 정착(定着)하면서부터 임씨(林氏)들이 이룩한 마을인데 그 당시 새로 임씨(林氏)들이 이룩하는 마을이란 뜻에서 신림(新林)이라 부르게 되었다.